2025년 리그 오브 레전드(LoL) e스포츠의 정점을 가리는 '2025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'(이하 롤드컵)이 그 대장정의 막바지를 향해 달려가고 있습니다. "유산을 쟁취하라(Earn Your Legacy)"라는 슬로건 아래, 전 세계 최고의 팀들이 격돌했습니다.
올해 롤드컵은 10월 14일부터 11월 9일까지 약 한 달간 중국의 3개 도시(베이징, 상하이, 청두)를 순회하며 개최되었습니다. 각 스테이지는 팬들의 뜨거운 열기 속에서 진행되었으며, 마침내 소환사의 컵을 들어 올릴 단 두 팀만이 남았습니다.

2025 롤드컵 대회 개요 및 진행 방식
이번 대회는 총 22개 팀이 참가하여 치열한 경쟁을 펼쳤습니다. LCK(한국), LPL(중국), EMEA(유럽/중동/아프리카), LTA(라틴 아메리카), LCP(아시아 태평양) 등 5개 주요 리그가 참가하여 세계 최강의 자리를 놓고 다퉜습니다.
주요 스테이지별 진행 상황:
- 플레이-인 스테이지 (10월 14일 시작, 베이징):
대회의 시작을 알린 플레이-인 스테이지는 베이징에서 열렸습니다. 특히 LCK와 LPL의 4번 시드 간의 단두대 매치가 포함되어 초반부터 큰 관심을 모았습니다. 이 단계를 통과한 팀들이 스위스 스테이지에 합류했습니다. - 스위스 스테이지 (10월 15일 ~ 25일, 베이징):
플레이-인을 통과한 팀과 직행 시드를 받은 팀을 포함한 총 16개 팀이 베이징에서 스위스 스테이지를 치렀습니다. 승자는 승자끼리, 패자는 패자끼리 맞붙는 독특한 방식으로 진행되며, 3승을 먼저 달성한 팀이 8강 토너먼트에 진출했습니다. - 토너먼트 스테이지 (8강/4강) (10월 28일 ~ 11월 2일, 상하이):
상하이로 무대를 옮겨 진행된 8강과 4강은 5전 3선승제의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로 진행되었습니다. 이곳에서 결승에 오를 두 팀이 최종적으로 가려졌습니다.
2025 롤드컵 결승전 상세 정보
전 세계 LoL 팬들의 이목이 집중되는 대망의 결승전은 LCK(한국) 팀 간의 내전으로 성사되었습니다. T1과 KT 롤스터가 중국 청두에서 최종 결전을 치릅니다.
- 결승일: 2025년 11월 9일 (일)
- 시작 시간: 오후 4시 (한국 시간 KST 기준)
- 장소: 중국 청두 '동안호 스포츠 파크 체육관'
- 경기장 규모: 약 18,000석 규모로, 현장의 열기가 뜨거울 것으로 예상됩니다.
- 경기 방식: 5전 3선승제 (BO5)
결승전 중계 채널 안내
이번 2025 롤드컵 결승전은 그 어느 때보다 다양한 채널을 통해 시청할 수 있습니다. 특히 e스포츠 역사상 최초로 지상파 TV 생중계가 확정되어 더 많은 시청자가 함께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.
- TV 생중계:
- MBC: 사상 최초로 지상파 채널에서 롤드컵 결승전이 생중계됩니다. 전문 해설진의 깊이 있는 분석과 함께 프라임 타임인 오후 4시부터 경기를 시청할 수 있습니다.
- 온라인 스트리밍:
- LoL Esports: 공식 사이트를 통해 최고 화질의 중계를 제공합니다.
- 유튜브 (YouTube): LCK Official 채널에서 실시간 스트리밍됩니다.
- 트위치 (Twitch): LoL Korea 채널을 통해 시청할 수 있습니다.
- SOOP (구 아프리카TV): 공식 채널에서 중계가 진행됩니다.
- 네이버 e스포츠: 모바일과 PC 환경에서 편리하게 중계를 지원합니다.
결승 대진: T1 vs KT 롤스터
3년 만에 성사된 LCK 내전 결승은 T1의 '3연속 우승' 대기록 달성 여부와 KT 롤스터의 '창단 첫 우승' 도전이라는 극적인 서사로 팬들의 기대를 최고조로 끌어올리고 있습니다.
T1: 4연속 결승 진출, 3연속 우승을 향한 도전
T1은 2025 시즌 롤드컵에서 4년 연속 결승 진출이라는 전무후무한 기록을 세웠습니다. 이들은 플레이-인 스테이지부터 시작했음에도 불구하고 압도적인 경기력을 선보이며 승승장구했습니다.
특히 4강에서는 강력한 우승 후보로 꼽히던 중국의 TES를 상대로 3:0 완승을 거두며 결승에 선착했습니다. '페이커' 이상혁 선수를 중심으로 신구 조화가 완벽하게 이루어진 T1이 롤드컵 역사상 최초의 3연속 우승이라는 금자탑을 쌓아 올릴지 주목됩니다.
KT 롤스터: 창단 첫 롤드컵 결승, 돌풍의 중심
KT 롤스터는 이번 롤드컵에서 가장 극적인 드라마를 쓴 팀입니다. 창단 이후 처음으로 롤드컵 결승 무대를 밟게 되었습니다.
4강에서 LCK 1번 시드이자 강력한 우승 후보였던 젠지(Gen.G)를 3:1로 꺾는 이변을 일으키며 돌풍의 주인공이 되었습니다. 베테랑 '커즈' 문우찬 선수와 팀의 핵심 '비디디' 곽보성 선수, 그리고 신인 선수들의 시너지가 폭발하며 최고의 성적을 내고 있습니다. KT가 T1을 상대로 첫 우승의 꿈을 이룰 수 있을지 기대를 모으고 있습니다.
주목해야 할 주요 선수 프로필
이번 결승전은 양 팀의 핵심 선수들이 펼칠 불꽃 튀는 라인전과 한타 싸움이 승패를 가를 전망입니다. 각 팀의 주요 선수 프로필을 정리했습니다.
| 팀 | 선수명 (포지션) | 본명 (출생) | 주요 특징 및 경력 |
|---|---|---|---|
| T1 | Faker (미드) | 이상혁 (1996년) | "살아있는 전설", 롤드컵 3회 우승. 혁신적인 플레이와 뛰어난 오더 능력으로 팀의 정신적 지주 역할. |
| T1 | Doran (탑) | 최현준 (1999년) | 2023년부터 T1의 탑 라인을 굳건히 지키고 있음. 안정적인 라인전과 팀 파이트 기여도가 높은 핵심 탑 라이너. |
| T1 | Gumayusi (원딜) | 이민형 (2002년) | 2021년 입단. 폭발적인 딜링과 뛰어난 한타 집중력이 강점. 팀 공격의 선봉에 서는 핵심 딜러. |
| KT | Cuzz (정글) | 문우찬 (1998년) | 2017년 데뷔. 공격적인 플레이 스타일과 날카로운 갱킹이 특징. 팀의 초반 스노우볼을 굴리는 핵심 정글러. |
| KT | Bdd (미드) | 곽보성 (1996년) | 2016년 데뷔. 다재다능한 챔피언 폭과 경기 조율 능력이 뛰어남. KT 전략의 중심으로 '페이커'와의 미드 대결이 주목됨. |
| KT | Superflower (원딜) | 권병훈 (2004년) | 2024년 합류한 신인급 선수. 빠른 성장세와 탁월한 포지셔닝 능력으로 팀의 후반을 책임지는 기대주. |
이번 2025 롤드컵 결승전은 두 통신사 라이벌 팀의 맞대결이자, T1의 역사적인 3연패 도전과 KT의 감격적인 첫 우승 도전이 맞물려 그 어떤 해보다 뜨거운 명승부가 예상됩니다.